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기록적인 석탄소비증가와 환경적 함축

전문가 제언
○ 중국의 석탄 매장량은 1,890억 톤으로 세계매장량의 21%를 차지하여 세계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2010년 석탄생산 및 수요는 30억 톤을 상회할 전망으로 이는 세계의 생산 및 소비의 약 31% 점하여 세계 최대의 생산 및 소비국이다.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매장량은 1.3억 톤의 1,453배를 상회하고 생산은 130만 톤의 2,300배를 상회한다. 소비량의 경우는 45배를 상회한다.

○ 2025년까지 중국의 석탄수요는 IEA와 미국 DOE 등 주요 기관의 소비전망치를 상회할 전망으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국내외 석탄탐사 및 개발 강화, 운반철도 건설, 에너지효율기술개발, 환경문제해결 등 향후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다. 특히 온실가스를 줄여야하는 국제적인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정부의 탄소배출저감 발전기술 프로그램 추진에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 중국이 국내외에서 석탄자원탐사개발을 강화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하다. 탐사개발지역은 대부분 인프라 미비로 여기에 운반 철도 건설 등 인프라의 뒷받침이 필수적인 바, 건설 및 장비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다. 우리 기업이 석탄 공동개발 및 건설장비공급을 위한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다.

○ 석탄발전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하여 중국은 원자력발전을 중점적인 에너지사업의 하나로 삼고 있다. 핵심 설비분야에서의 생산능력이 비교적 취약한 편으로 알려지고 있고 원자력발전 설비시장은 매년 확대될 전망이다. 원자력발전건설 확대는 야금, 기계전자, 제조 등 관련 산업의 발전을 크게 이끌 것이다. 우리 기업이 원자력발전 건설 참여에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중국의 석탄수요 급증으로 국제 석탄가격상승을 필연적으로 유발할 것이다. 다행이도 우리나라는 안정공급을 위한 해외 석탄 자주개발률이 2009년 43.7%를 기록하고 있지만 더욱 안정적인 석탄자원 공급 측면에서 자원개발 전문 인력을 보강하고 해외자원개발을 다변화하여 안정적인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저자
Malcolm Shealy,JamesP.Dori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8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16~2122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