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스파르틸 단백분해효소 억제제

전문가 제언
○ 안지오텐시노게나제로 알려진 레닌은 34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포외 용적(예: 혈장, 림프 및 사이질액의 용적)과 동맥성 혈관수축을 조정하는 체내의 레닌-안지오텐신 체계(Renin-Angiotensin System; RAS)내에 참여하는 효소인데, 체내의 평균 동맥성 혈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레닌은 간에 의해 생성된 안지오텐신노겐을 절단함으로써 RAS를 활성화시켜서 안지오텐신Ⅰ을 생성하고, 이것이 폐의 모세관 혈관내의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의 작용에 의해 안지오텐신Ⅱ로 전환된다. 안지오텐신Ⅱ는 혈압을 수축하고, 항이뇨 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ADH)과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갈증반사를 활성화시킨다.

○ 그런데 RAS의 지나친 활성은 혈관수축, 소듐과 물의 축적으로 연결되어 고혈압을 일으키게 하는데, 여기서 레닌 억제제는 고혈압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현재의 의료 진료에서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체계의 지나친 활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직접적인 경구용 레닌 억제제 보다는 일반적으로 ACE 억제제(예: ramipril, perindopril) 또는 안지오텐신Ⅱ 수용체 차단제(예: losartan, irbesartan, candesartan)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펩타이드 유사 유도체를 합성하여 레닌의 효소적 억제를 평가하기 위해 생물학적 효력검정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화합물들이 탁월한 억제활성을 나타내고 있어서 레닌 억제제로서의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
Medivir AB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WO20100024772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2
분석자
장*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