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조량과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잠재력

전문가 제언
○ 풍부한 일사량은 가동률 높은 태양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우리나라 2009년 서울 지방 일사량은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연간 1348.64kWh/m2이다. 이 일사량은 남아프리카 2955, Las vegas 2573, Mexico 2835, Spain 2100, Guatemala 2036 등에 비교해 보면 매우 부족한 수치이다. 하지만 본고에서 검토한 Cyprus 1997, Stuttgart 1460에 비하면 그리 크게 부족한 것은 아니다.

○ 세계는 태양 전지의 셀 효율과 모듈 효율을 놓고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2010년 2월 일본의 Kyocera사는 다결정형으로 변환효율 17.3%, 모듈 효율 16.6%를 개발했다고 발표하였다. 2010년 3월 일본의 Showa Shell Solar사는 CIGS 변환효율 16%, 모듈효율은 12.2%를 개발했다고 발표하면서 2014년에는 모듈효율을 13%로 올리겠다고 선언했다.

○ 국내 기업도 이러한 세계의 각축장에 뛰어들고 있다. 신성홀딩스는 2009년 11월 에너지 변환효율 18%의 고효율 상업용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다고 발표하더니 2010년 2월에는 다시 19%의 벽을 깼다고 발표했다. 양산라인에서 스크린 프린트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중국 차이나시너지가 조금 먼저 이 방식으로 19.04%를 달성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 현재까지 발표된 고효율 태양전지는 미국 선파워사의 후면전극형 태양전지(Back Contact Solar Cell), 영국의 BP솔라의 레이저를 이용한 매몰전극형 태양전지(Buried Contact Solar Cell), 일본 산요사의 HIT 태양전지(Hetero-Junction with Intrinsic Thin layer) 등이 있으며 효율이 20%가 넘는 경우도 있지만 스크린프린트 방식이 아니어서 생산성이 나쁘거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점들로 아직까지 양산화 수준이 미흡하거나 5인치 이하의 작은 사이즈에만 구현이 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우리나라 태양전지 산업은 다소 일관성 없는 정부 지원에 기대지 말고 보다 강력한 자기 노력을 통하여 독일, 미국, 일본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태양전지 선진국 그룹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것이다.
저자
Makrides, George, et.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14(2)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754~762
분석자
황*룡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