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인성전염병의 지속적인 관리

전문가 제언
○ 수인성전염병에 기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은 초기단계에서는 성공적인 것 같이 보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효과가 지속되기는 어렵다. 본 원고에는 물과 관련된 전염병 연구에 관한 검토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며, 향후 연구방향과 예방설계를 위한 접근방법도 제시되어 있다.

○ 히포크라테스와 같은 고대 학자들도 환경과 물 사이의 관계와 질병이 만연할 때의 인간의 행동양식에 대하여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집트, 로마, 그리스 등의 고대국가들도 급수 및 위생과 위생시설에 대한 투자와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 수인성전염병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인성전염병과 물 연관 매개성 질병에 대한 정의와 이해가 필요다. 또한 사회학, 생태학, 공학, 정치/경제학, 공중보건 등 다양한 부문의 영역을 통합하는 다원적 접근방식이 중요하다.

○ 본 원고에서는 지속가능한 물의 사용을 “생태시스템에서 물 순환을 완전하게 보전하면서 불확실한 미래의 번영에 필요한 인간사회의 능력을 지원하는 물의 이용“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위한 연구의 방향과 의제(agenda)는 단순한 물 사용의 관점에서 확대하여 인간, 생태시스템, 그리고 사회기반시설을 망라한 전체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 많은 질병들이 사라지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도 지역에 따라서는 전염병이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수인성전염병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건부문의 투자확대와 함께 인간, 에코시스템을 아우르는 연구의제의 수립, 추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자
Stuart Batterman, Joseph Eisenberg, Rebecca Hard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17(7)
잡지명
Environmental Health?Perspectiv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23~1032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