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 결정의 신기능 가능성

전문가 제언
○ 인류의 역사에는 재료의 역사도 있었다. 21세기에 들어서 과학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응하는 기능과 성능을 갖는 재료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요구에 잘 맞는 재료가 존재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새로운 기술의 실현은 재료의 개발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다양한 기능과 성능의 필요에 따라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료에 관한 깊은 기초물성 파악과 여러 분야에 대한 폭넓은 시야의 확보와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 각 국가에서는 나노 전자공학, 재료, 나노 생체재료 등 나노 기술관련 분야를 국가전략 중점 과학기술로 정하고 추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일본에서는 나노 재료분야를 「True Nano」라 해서 종래의 연장선상이 아니라 불연속적으로 뛰어넘는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창조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서 진행하는 과제를 정책적으로 설정 지원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2002년도에, 나노기술의 연구기반을 조성하여 체계적으로 육성·발전시킴으로써 과학기술 혁신과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나노기술개발촉진법을 제정하였다. 이 법은 21세기 새로운 산업혁명을 주도한 성장 동력으로 부상한 나노기술에 관한 개념과 정책방향을 정립하고, 종합발전계획을 지속적·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세계의 나노 기술의 발전 추이에 발맞추어서 이제는 이 제도를 나노 결정의 기술을 적극 지원하는 구체적인 체제로 내용을 보완해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나노기술을 여러 나라에서 국가차원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가적인 전략으로 주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어느 나라에서 어떤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어떠한 방법으로 발전시키도록 하고 있는지를 세밀하게 파악해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각기 경쟁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빠른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의 공유와 협조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역시 국가적 차원에서 주도해 가는 체계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저자
Satoshi Wa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45(2)
잡지명
セラミ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98~104
분석자
김*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