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전지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한 분말기질에 전도성 탄소층을 코팅하는 방법
- 전문가 제언
-
○ 탄소는 공업적으로 자동차 타이어를 비롯해 화학공정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많다. 복합재료로 사용되는 탄소섬유, 수 처리용 활성탄소, 전기발열체 등으로 쓰이는 전도성 탄소, 미래 소재로 각광 받는 탄소나노튜브 등 탄소는 구조에 따라 특성이 다르며 용도 또한 다양한 중요 소재이다.
○ 전자기기 및 자동차용으로 그 용도가 넓어지고 성능이 향상되고 있는 리튬전지의 전극에도 탄소복합체를 사용한다. 리튬전지는 높은 전지전압을 낼 수 있고 경량, 고에너지 밀도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그 응용범위가 광범위한 필수 소재이다. 리튬전지의 안정성과 성능개선을 위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본 발명은 리튬전지의 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한 탄소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Poly(N-vinylformamide) 등의 친수성 고분자와 Pyromellitic acid 혹은 Pyromellitic dianhydride를 Al2O3 등의 분말기질과 복합체를 제조하고 고온에서 탄화시킨다. 탄화되어 형성된 탄소복합체는 전도도가 우수하고 메조포아를 갖고 있어 리튬이온의 확산이 용이하고 전해질과의 접촉이 적어 안정성이 우수하다.
○ 리튬전지 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해 탄소를 함유한 복합체를 제조하거나 기질과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여 탄화시키는 방법 등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PMA 혹은 PMDA를 병용하여 열분해 온도를 낮추고 생성된 탄소 층의 특성을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 국내에서도 리튬전지는 상업 생산되고 있으며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차용 리튬전지 등은 국산제품의 우수성이 인정되어 해외에서도 채택되고 있는 등 국내 리튬전지 기술은 상당 수준에 도달해 있다.
○ 미래전지의 핵심인 리튬전지 기술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은 전구체 고분자의 탄화과정을 조절해 주는 PMA 등의 물질들에 대한 관심을 가져볼 필요성도 있다.
- 저자
- Uniwersytet Jagiellonski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2155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
- 분석자
- 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