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조류 바이오기술에 의한 바이오디젤 제조
- 전문가 제언
-
○ 1970년대 중반의 오일쇼크 이래,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 자원의 탐색은 전 세계의 관심사항이 되어 왔다. 종래의 에너지자원에 비하여 다수의 이점을 가진 바이오디젤 생산은 최근 여러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현시점에서는 바이오 유지재료로 제조되는 바이오디젤은 제조비용이 높아서 상업 생산에 장애가 되고 있다.
○ 육상 재배 유지식물(대두, 해바라기, 팜유)로부터 제조되는 바이오디젤과는 달리 미세조류(microalgae)로부터 바이오디젤의 제조는 새롭게 대두되는 분야이다. 미세조류의 가장 큰 장점은 대부분의 작물생산에 적합하지 않는 높은 염도, 강한 알칼리 등의 극한 환경에서도 성장하는 조류가 있으며 또한 성장이 빠르고, 다양한 고부가 유용물질이 생산되며, 바이오디젤과 같은 재생에너지의 생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 미소조류 바이오디젤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염가의 유지재료의 확보와 유지의 에스테르교환반응 기술을 개선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미세조류 유지로부터 바이오디젤을 대규모로 상업 생산하는 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미세조류 유지는 지질 함량과 바이오매스 함량이 낮아서 제조비용이 상승되어 공업 생산의 장애가 되고 있는 것이다.
○ 지질이 풍부한 미세조류의 유기영양 재배기술과 유지의 신속한 열분해 기술이 개발되면 바이오유지를 대규모로 고수율로 확보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또한 유전자 공학의 연구가 최신의 재배기술 및 하부기술과 결합되면 고 지질의 미세조류의 개발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 본고는 미소조류로부터 지질이 풍부한 미세조류 제조에 관한 기술의 개관과 유지함량이 높은 미소조류 바이오매스 재배방법, 바이오디젤 생산에 관련된 하부 가공과정을 소개한 것이다. 미세조류를 활용하면 이산화탄소 감축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에너지 및 생물자원을 생산하고 기존의 석유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공급과 석유 관련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유도하게 될 것이다.
- 저자
- GuanHua Huang,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87(1)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8~46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