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모노리스 크로마토그래피

전문가 제언
○ 모노리스 크로마토그래피는 기존의 입자충전 칼럼(particle-packed column)을 다공성의 모노리스 고정상으로 대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모노리스 고정상은 이동상이 흘러갈 때 내부 통로가 비교적 크므로 칼럼의 압력이 낮아 유속과 분리속도가 빠르다. 모노리스 재질은 수축률이 낮은 유기 무기고분자의 단일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생체분자 분리 및 금속이온 화학종 분석에 그 사용 빈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음이온 분리에 선택성이 매우 좋다.

○ 최근 10년 동안 실리카, methacrylate, styrene-divinylbenzene 모노리스 고정상 또는 이들 물질에 양이온 또는 음이온 교환 그룹을 결합시킨 개량된 모노리스 고정상을 사용하여 양이온과 화학종을 분석하여 왔다. 양이온 분리를 위해서는 모노리스 지지체에 dodecylsulfate, iminodiacetic acid, dipicolinic acid와 같은 양이온 교환체를 흡착한 모노리스 칼럼이 개발되었다.

○ 음의 전하를 띤 화학종 분석에는 음이온 교환능을 가지는 amine류 모노리스 고정상이 개발되었다. 또한 양이온과 음이온 교환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양쪽성 모노리스 고정상도 개발되었다. 이들 모노리스 칼럼을 사용하여 바닷물, 생체시료 중 알칼리, 알칼리 토금속, 전이원소 및 그 화학종을 분리 정량한다. 대류작용의 원리를 이용한 CIM 디스크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As, Zn 및 Cr 화학종을 효율적으로 분석한다.

○ 모노리스 크로마토그래피는 생체분자와 음이온 분리에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양이온 분리와 기타 다양한 화학종 분석에는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모노리스 크로마토그래피는 기존의 입자충전 고정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개념의 고정상을 도입하므로 분리속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켰다. 따라서 생체분자의 반응속도, 화학종의 이동 및 변형, 그리고 생체 내의 미량원소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에 앞으로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모노리스 고정상에 특정 이온교환체를 부착하여 시료의 선택성을 증가시키는 연구도 병행되어 나갈 것이다.
저자
Janez Scancar, Radmila Milaci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28(9)
잡지명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48~1056
분석자
조*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