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뉴질랜드 Wairakei-Tauhara 지열 시스템의 지질구조

전문가 제언
○ 열은 에너지의 한 형태로 “지열에너지”란 지구 전체 규모로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지구 내부의 열이다. 화산, 온천, 그 밖에 지표상에 나타나는 열적 현상 등을 보고 우리의 조상들은 지구 내부가 뜨거울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을 것이다.

○ 지구상에서는 매년 8,035MWe(연간 에너지 생산량 56,786GWh/y)의 지열발전을 함으로써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였을 경우보다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2,200만 톤의 이산화탄소, 20만 톤의 질소 산화물, 11만 톤의 분진 등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를 얻고 있다.

○ 화산성 고온 지열에너지의 노출이 없는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지금까지 약 50개소의 온천에서 "저온성 지열에너지(40~70℃)를 이용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지역난방과 첨단 영농단지 조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심부 지열에너지 개발을 위한 R&D 기초연구에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

○ 특히 기후적으로 사계절이 뚜렷하여 겨울에는 난방에, 여름에는 냉방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 에너지 소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화석연료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확보가 중요하다는 것은 더 이상의 언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우리 정부도 청정 재생에너지 자원 탐사 및 연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그 중 지열자원의 효과적 탐사 개발을 위하여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중심이 되어 우선적으로 지열류량(heat-flow) 분포가 높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부지역에 대한 저온성 지열에너지 탐사를 계속 수행하고 있다.
저자
Michael D. Rosenberg, Greg Bignall, Andrew J. Ra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8
잡지명
Geotherm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2~84
분석자
오*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