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재 시의 빌딩안전 및 인간 행동

전문가 제언
○ 의학기술과 사회복지환경의 발전으로 인구는 점차 증가하지만, 자연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건물의 대지면적은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공간을 확보하는 이른바 하이퍼빌딩이라는 신개념의 초고층빌딩이 제안되고 있다.

○ 이렇게 초고층빌딩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공사방법과 함께 신소재를 사용해야하며, 새로운 의미의 운영시스템을 개발해야한다. 건설자재는 차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와 내력을 가져야하며, 운영 측면에서도 고층화재 또는 테러를 대비한 종합방재시스템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 과거에는 빌딩화재안전에 대한 개념이 방화 또는 제연구획, 대피로,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 등 기술적인 분야에 치중하였으나, 1970년대부터 화재시의 인간 행동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본고에서 지적하고 있다.

○ 실제 화재 상황에서는 대피소요 시간보다 피난개시 시간이 중요하며, 이러한 피난개시 시간을 좌우하는 화재 대처능력은 개인의 행동에 따라 변동하므로 이를 감안해서 인간의 심리와 경제개념을 가미한 심리경제학(psychonomics)이 빌딩화재안전에 조속히 도입되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도심의 재개발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업용 고층빌딩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상업용 빌딩의 특성상 유동인구와 함께 인구밀도는 항상 변동할 수 있으므로 빌딩 피난구호팀과 비상대응팀 등과 같은 상설조직을 운용하고 주기적인 훈련을 반복해야만 대형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예상되므로 이러한 법규의 제정과 함께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M. Kobes, I. Helsloot, B.D. Vries, J.G. Pos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45
잡지명
Fire Safet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1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