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프리카 해안대수층의 현황 및 관리

전문가 제언
○ 세계 인구의 50~70%가 해안지역에 몰려 살고 있다(Benoit 등, 2007). 따라서 지표수가 풍부하지 못한 해안지역은 지하수 의존도가 높아 대수층은 과잉 취수로 해수침투에 시달리고 있다. 이 해수침투에서 벗어 날려면 수위가 내려간 대수층이 함양돼야 하는데, 자연 함양이 안될 때는 인공 함양으로 수위를 높여야 한다.

○ 바다와 접한 많은 국가의 해안대수층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해수침투 피해를 보고 있다.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로 이름난 국가는 인도, 중국, 태국, 베트남, 미국, 스페인, 포르투갈, 터키 등을 들 수 있다.

? 중국은 Bohai 해에 면한 해안대수층 지역(2,457㎢)이 해수침투를 받았다(2003년 기준). 스페인에선 해안대수층의 약 60%가 해수로 오염됐다고 한다.

? 미국은 바다와 접한 주 대부분의 해안대수층이 1924년부터 해수침투 피해를 보았다. 뉴저지 Cape May 군은 1940년 120개 취수정이 염소이온 농도가 진해 한꺼번에 폐쇄됐다고 한다(Barlow, 2003). 캘리포니아 Santa Clara와 Orange군은 인공 함양으로 해안대수층을 해수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 염소이온의 우리나라 지하수 수질기준은 공업용수(500㎎/L)를 제외한 먹는 물, 생활용수 및 농업용수 모두 250㎎/L이다. 우리나라 해안지역은 상수도 보급률이 40%에 불과해 1인당 지하수 이용량이 우리나라 전체 평균의 4배에 달한다. 따라서 특히 서 및 남해안 지역은 해수침투를 고려해 대수층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철저한 대수층 관리는 도서지역에도 적용돼야 한다.

○ 제주도는 빗물을 이용한 인공 함양시설을 제주시 오동동 한천에 건설 중이다. 이 시설이 2010년 안으로 완성되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빗물을 이용한 인공함양 사례가 된다.
저자
G. Steyl, I. Denni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8(1)
잡지명
Hydrogeolog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7~225
분석자
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