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그네슘합금 단조부품의 강도와 연성의 개선을 위한 기술개발

전문가 제언
○ 마그네슘합금은 비중이 철의 1/4.5, 아연의 1/4, 그리고 경량화 합금의 대표 격인 알루미늄의 2/3 정도로 실용 합금 중에서 비중이 가장 작고 비강성이나 비강도가 좋아 자동차와 항공기 등의 경량부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 마그네슘 합금의 결정립을 미세화하고 결정립계 슬립의 기여도가 높은 변형조건에서 열간가공을 하면 가공 집합조직의 발달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온에서 마그네슘 합금은 슬립 활동이 증가하여 소성 이방성이 해소되고 성형 가공성도 향상되므로, 200℃ 이상의 고온에서 성형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향후 마그네슘 합금의 용도를 확대하고 사용량을 늘이기 위해서는 실온 부근에서의 성형성을 개선해야 한다.

○ 마그네슘합금의 소성가공비용을 절감하고 사용량을 늘이기 위해서는 마그네슘합금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가공조건을 파악하고 가공결함이 발생되지 않는 제조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 AZ31 마그네슘합금을 673K에서 ε=0.1과 0.5의 대변형가공 조건으로 다축단조(Multi-Directional Forging)를 실시하면 각 결정립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킹크대(kink band)가 저변형역에서부터 빈번히 발생하고, 전위경계간의 방위차가 변형과 함께 증가하여 새로운 결정립 조직의 형성이 ε≪1의 낮은 변형률에서 완료한다.

○ 향후 생산성이 높은 단조기술을 이용하여 마그네슘합금의 성형가공기술을 확립하는 기술개발을 통해 마그네슘합금의 고강도화와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수송기관의 에너지 절약과 CO2 삭감 등과 같은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여 보다 가볍고 강한 마그네슘합금이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Akira Wataz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60(2)
잡지명
輕金屬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8~92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