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피세포 기능의 면역학적 조절 : 위장관 병변과의 상관관계
- 전문가 제언
-
○ 포유류의 면역계통은 수많은 외래 및 자체 분자를 인식, 반응하고 적응시키는 복잡하고도 역동적인 네트워크이다. Th2 사이토카인은 IL-4, IL-5 및 IL-13을 포함하는데 특히 알레르기 반응과 기생충의 구제에 있어서 중요하다. 양극화된 사이토카인 발현 및 분비양상(polarized cytokines profiles)은 병원체의 제거를 촉진시키는 장 기능의 변화를 조절하는 것을 도와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충 감염은 기생충 구제를 용이하게 하는 장 기능의 정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Th2 사이토카인을 상향조절 한다.
○ 면역세포 및 상피세포 모두 STAT6 뿐만 아니라 IL-4 및 IL-13을 위한 수용체를 발현하는데 이는 기생충 항원에 대한 면역세포의 노출을 강화하여 Th2 반응의 발달을 이끌어 내는 상피조직의 침투성 변화에 중요하다. 장강 내 체액의 증가는 기생충이 점막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제한하며 구제 후 감염의 적기에 관여한다. IL-25의 발견은 Th2 매개성 방어적인 면역의 개시, 증폭 및 유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피세포의 중요성을 배가시킨다.
○ 상피세포가 면역세포로 기능하는 능력을 변화시키는 다수의 자동면역 염증촉진성 병리(autoimmune pro-inflamatory pathologies)의 예방, IL-4, IL-13, IL-25 수용체의 발현과 배급 및 STAT6에 의존하는 유전자 발현의 수준은 선충 감염의 치료 작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선충 감염이 방어벽의 기능성에 미치는 결과 및 소장 내에서 weep & sweep 반응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및 IL-25가 상피세포 기능을 통제하여 T세포 면역에 작용하는 메커니즘 등은 아직 완전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이 분야에 관련된 연구자는 앞으로 이들 특성에 대한 보다 진전된 규명이 요구된다.
- 저자
- Terez Shea-Donohue, Joseph F. Urban Jr., Luigi Notari and Aiping Zha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20(4)
- 잡지명
- International Dairy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48~252
- 분석자
- 정*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