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올리브유 잔사의 회수와 이용: 상품, 환경 및 경제 평가

전문가 제언
○ 현재 바이오매스는 균등하게 분포되었으며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다. 바이오매스의 여러 가지 형태 중에서 농업부산물이 취득이 쉽고 처리하기도 쉬우며 에너지 밀도 측면으로나 윤리적으로도 수용하기 쉬운 연료이다. 더욱이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환경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올리브유 생산에서 올리브 씨와 착유잔사(찌꺼기)를 가정연료나 발전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부산물로 회수할 수 있다.

○ 본고에서는 올리브 씨와 섬유소로 된 착유잔사의 경제적인 회수방법으로 두 가지 기술을 분석하였다. 사례연구 1에서는 올리브를 분쇄한 다음 씨를 분리하고 여기서 올리브유를 착유한다. 사례연구 2에서는 올리브유를 착유한 다음 잔사로부터 씨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 경제 분석 결과 공장규모가 작은 곳에서는 사례연구 1의 방법이 적합하고 공장규모가 큰 곳에서는 사례연구 2의 방법이 경제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어떤 방법이나 올리브 씨의 분리회수는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다.

○ 올리브는 한글 성서 창세기 노아의 홍수에 감람나무(학명이 올리브는 Olea europaea이고 감람나무는 Canarium Album Raeusch로 사실은 올리브로 표기하여야 한다)로 나오기도 하는 나무로 지중해지역에서 잘 자라며 올리브유는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태리에서는 지난 3월(2010년 3월 5~8일)에 Trieste시에서 230여개 업체가 참가한 올리브오일 산업박람회가 개최된 바 있을 만큼 올리브생산이 큰 산업이다.

○ 이 밖에 농업부산물을 바이오연료로 이용하는 사례로는 사탕수수에서 당즙을 짜고 남은 Baggase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금은 산림이 울창하고 간벌이나 가지치기 등으로 산에 버려지는 바이오매스가 적지 않다. 이를 방치하는 것은 이들이 종국적으로 부식되어 메탄으로 되는데 이는 CO2보다 20배나 더 큰 온실효과를 발생하므로 이런 점에서도 이를 수집하여 연료로 사용하여야 한다. 체계적인 바이오매스의 활용이 필요한 시대이다.
저자
C. Pattara, G.M. Cappelletti, A. Cichell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484~1489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