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섬유소재의 시장동향
- 전문가 제언
-
○ 식물섬유는 난(難)소화성이기 때문에 영양소 중심의 영양학에서는 주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식물섬유에는 영양소로는 달성할 수 없는 종류의 생리기능, 곧 대장암, 당뇨병, 허혈성 심질환 등의 생활 습관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져서 건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6의 영양소로 주목받고 있다.
○ 측정방법에 따라 식물섬유 함유량은 차이가 많고, 식품에 존재하는 불소화성분이나 난소화성분을 모두 식물섬유라고 하므로 다양한 물질이 여기에 해당된다. 식물섬유가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은 식사용량이 커지므로 특히 잘 씹어서 먹어야 하는데, 섭취열량에 비해 위의 포만감을 가져오므로 비만과 배변에 도움을 준다.
○ 일반적으로 식물섬유라고 하면 딱딱한 것으로 알기 쉬운데, 수분을 함유한 연한 것도 있다. 식물섬유에도 딱딱한 셀룰로오스가 있는가 하면, 곡물에 많은 헤미셀룰로오스, 과일?홍당무?호박 등에 많은 물에 녹는 펙틴이나, 근채류와 감자나 고구마에 많은 리그닌, 곤약의 성분인 글루코만난, 해초에 들어 있는 알긴산 등이 있다.
○ 비만 환자나 고지혈증 환자에게는 식이섬유가 대장 안에서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이 흡수되는 정도를 낮추어 주고, 당뇨병 환자에게는 식후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 주기 때문에 좋은 식품으로 권장되고 있다. 그러므로 좋은 식물섬유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능한 한 정제되지 않은 식품을 먹는 것이 좋다.
○ 우리 몸을 위한 식이섬유의 1일 필요량은 25∼30g이다. 식이섬유는 변과 함께 배출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자신의 무게보다 훨씬 많은 수분을 흡수하여 변의 양을 더욱 늘어나게 하고 또한 대변을 부드럽게 하여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게 하므로 배설하기 쉽도록 만들어 준다. 그러므로 충분한 물을 반드시 동시에 섭취해야 한다.
- 저자
- editorial departmen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45(2)
- 잡지명
- 食品と開發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2~61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