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탐사를 위한 객관 기반 영상 분석
- 전문가 제언
-
○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지구의 환경 변화가 심상치 않은 추세로 전개되고 있음이 각종 재난의 빈도와 규모들에서 감지되어 왔다. 1972년 미국 NASA(국립항공우주국)에서 최초로 Landsat 위성을 발사하여 지구 전반에 관한 디지털 위성 영상을 일반에게 공개하자 원격탐사 방법을 통한 지구 규모의 자원과 재난 현황을 감시할 수 있음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 위성 영상의 디지털 자료는 자료량의 방대함으로 인해 영상 자료 분석에서 전산 처리가 불가피하고, OBIA(object based image analysis; 객관 기반 영상 분석)는 당연한 분석 방식으로 지향되어 왔다. 그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형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꾸러미(package) 이용이 일반화되면서 이에 따른 OBIA 소프트웨어도 광범위한 학계와 산업계에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던 중, 2000년 초 고해상도 위성 영상의 등장과 “eCognition(후에 Definiens)"라는 소프트웨어 꾸러미의 출현으로 OBIA 또는 GEOBIA(geospatial object based image analysis; 지형공간 객관 기반 영상 분석)에 의한 연구 논문들이 주류를 이룬다.
○ 이 논문은 그간의 원격탐사 관련 수천의 논문 초록들을 점검하고 OBIA-관련 논문 820편을 상세히 분석했다. 검토된 학술지 논문들에서는 지난 4~5년 사이에 화소 위주의 분석에서 OBIA 방법들로 현저히 변하면서 지형공간 계획과 함께 많은 모니터링 프로그램들에서까지 채택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국내의 원격탐사 자료 연구기관과 학계 및 산업체에서도 Definiens에 견줄 만한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있고, 고해상도 자원탐사 위성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주축으로 계속 개발되고 일부 운용 중이어서 OBIA/GEOBIA의 연구에서 선진국과 비견할 연구 진척이 전망된다.
- 저자
- T. Blaschk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65(1)
- 잡지명
-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16
- 분석자
- 박*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