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보툴리눔 독소 예방 백신

전문가 제언
○ 보툴리눔 독소(BoNT)는 반치사량이 0.005~0.05?g/kg으로 생물독소 중 최강의 독소로서 미국 질병통제센터는 이 독소를 가장 위협이 높은 category A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BoNT의 성분은 단백질이기 때문에 작용제로서 사용에 제한성이 있다. BoNT는 수많은 신경 근육, 자율 계 및 감각계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 BoNT는 중쇄와 경쇄로 구성되며 중쇄에는 축삭 말단의 수용체에 독소가 결합되고 전위되는 영역이 있다. 촉매 영역이 있는 경쇄는 뉴런의 3개 SNARE 단백질 중 하나를 분해하여 축삭을 통한 신경 자극의 전달을 차단, 사망에 이르게 한다. 보툴리누스 중독증의 임상적 특징은 급성 이완성 마비로 인한 호흡 불능이나 횡경막과 늑간근의 마비이다.

○ BoNT에 대한 효율적 보호 수단으로는 예방 백신과 치료제인 항독소가 있으며 백신 개발은 변성 독소로부터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는 추세에 있다. 미국의 경우 생물학전에 대비하여 BoNT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추진되어 변성 독소 백신 2종, 치료제인 항독소 2종과 사람 면역글로불린을 현재 IND로 확보하고 있고, 최근에는 유전자 재조합 2가(AB) 백신을 IND로 채택하였다.

○ BoNT에 관한 국내 연구는 비교적 활발한 편으로 정부출연연구소, 학계 및 일부 벤처 기업을 중심으로 기술 기반이 구축되어 있어 그 수준은 높은 편이다. 그러나 연구 개발은 보톡스와 같은 신경계 치료 분야에 치중하고 있고 BoNT에 대한 백신 및 항독소와 같은 분야는 제한된 일부 기관에서 수행되고 있어 기술 기반은 취약하다.

○ BoNT 위협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탐지와 진단 기술의 개발과 아울러 예방/치료 대책이 확립되어야 한다. 예방 백신의 연구개발 방향은 유전자 재조합 백신을 위주로 하여 다중 백신, 식물 기반 백신으로 나아가야 하며 항독소와 같이 항체를 기반으로 한 치료 분야는 인간화 내지 인간 항체를 목적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Project Bioshield처럼 정부 주도에 의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저자
Leonard A. Smit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7
잡지명
Vac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3~39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