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칼리 골재반응의 발생 메커니즘

전문가 제언
○ 콘크리트에 있어서도 인간의 신체에 발병하는 암과 같은 치명적인 결함이 존재한다. 소위 ASR(Alkali Silica Reaction)이라고 하는 알칼리골재반응이다. 이 현상은 1940년 미국의 T.E. Stanton에 의하여 처음으로 보고 되었으나 당시에는 별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문제의 심각성이 크게 부각된 것은 1970년대 이후 유럽과 일본에서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 이 보고서는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새로운 발생기구(신ASR모델) 이론을 전개하고 해설한 것이다. 이 이론은 알칼리골재반응에 의한 콘크리트의 균열파괴와 같은 열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는 데 유용하다. 그 동안 억제 대책으로 활용되어온 실리카 흄이나 플라이애시와 같은 포조란 반응물질의 효과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 알칼리 골재반응은 시멘트 중에 함유된 알칼리 성분과 골재 중에 함유된 반응성 실리카와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시멘트는 전통적으로 알칼리 성분의 함량이 높고(약 1.%) 양질의 천연골재의 고갈로 지역에 따라 반응성 골재가 출연하고 있다. 아직까지 구조물의 심각한 피해가 보고된 바는 없으나 알칼리골재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은 충분히 잠재되어 있다.

○ 이에 대한 대책으로 현재 시멘트의 혼합재로 사용되고 있는 고로 슬래그나 플라이애시 등의 혼합사용을 보다 더 적극 권장한다. 또한 시멘트의 알칼리 함량을 국제 수준에 걸 맞는 0.6% 이하로 낮추도록 하며, 반응성 골재 출연지역에 대한 골재품질 검사 기준을 강화하여 미구에 일어날 사회적 문제에 대비할 것을 제언한다.
저자
Tsuneki Ichik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28(9)
잡지명
コンクリ-トテクノ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9~15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