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제조회사와 판매회사의 동반자관계 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절차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산업에서 20세기 초 미국의 포드자동차가 Model T를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세상에 내놓은 것은 인류 육상 운송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최근에 100년이 넘는 역사를 보낸 세계 자동차 업계에 강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자동차의 모델도 제조업체 중심의 획일화된 포드의 Model T에서부터 오늘날의 고객별 맞춤형이 가능한 미니 쿠퍼에 이르기까지 대변혁을 이루어왔다.
○ 생산자 중심에서 시작한 자동차 시장이 소비자 중심으로 옮겨가면서 대응이 느렸던 업체들은 세계적 불황인 현 시점에서 사활을 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지금과 같은 경기 침체가 도래하지 않았다면 미국의 자동차 Big 3도 파국에까지 도달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한때 위용을 떨치던 메이저 자동차 메이커들이 공적 자금 지원을 받는가 하면, 이번 경제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여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는 업체도 보인다.
○ 미국 자동차 Big 3는 과도한 복리후생 비용과 딜러에게 지불되는 높은 판매비용, 신용등급의 하락과 누적되는 부채에 따른 이자 비용 발생이 유동성 악화를 초래했다. 시장점유율 하락과 유동성 부족, 강성 노조에 따른 비용 부담으로 인해 기업에 대한 평가가 악화되어 왔으며, 매출 부진으로 딜러에게 지불되는 판매 인센티브는 일본 경쟁업체의 지불 비용보다 2~3배로 높아져 채산성의 악화를 초래했다.
○ 자동차산업은 자본, 기술 그리고 부품 집약 산업으로 미래 시장 예측, 전략적 비용 혁신 그리고 전략적 자원 배분으로 인한 성과의 극대화에 추가하여 고객을 위한 가치창조가 가장 중요하다. 자동차제조회사는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는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효율적인 생산자-판매자 동반자관계를 신중하게 검토해야만 한다.
○ 국내에서는 GM 대우자동차의 판매를 전담해오던 대우차판매가 GM대우자동차로부터 일방적인 차량공급 중단 및 계약해지 통보를 받고 GM대우차 사업 중단을 공식화 한 상태이다. GM대우자동차는 내수 보다는 수출에 중점을 두겠다는 경영방침이지만 생산자-판매자의 동반관계를 고려한 합리적인 정책의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
- 저자
- Shuo-Pei Chen , Wann-Yih W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205
- 잡지명
-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87~698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