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RO의 초소형위성 기술개발과 응용
- 전문가 제언
-
○ 인도의 ISRO는 원격감지용 위성에 대한 풍부하고 성공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자원 및 해양탐사와 같은 특정목적의 위성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소형화분야의 발전된 기술을 활용하여 100㎏급의 마이크로위성과 450㎏급의 미니급 위성시리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연구에서는 소형위성시리즈의 구현과 관련된 기술적인 면만을 주로 다루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성과부분이 매우 궁금하다.
○ 우리나라에서 구현된 마이크로급 위성은 우리별 위성시리즈를 들 수 있다. 영국의 기술지원과 공동연구로 발사된 우리별 1호와 우리나라 부품을 사용한 우리별 2호와 그 후 좀 더 규모가 커진 우리별 3호가 있다. 이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서 우리나라도 독자적인 위성의 설계 및 제작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연구가 인도와 같이 미니급 위성의 발사로 계속 이어지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 인도가 이런 위성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자체 위성발사체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ISRO는 이미 1980년에 첫 실험용 위성발사체 SLV(Satellite Launch Vehicle)를 개발했고 이의 개량형 ASLV에 이어 더욱 더 발전시킨 PSLV(Polar Satellite Launch Vehicle), 그리고 정지궤도에까지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GSLV(Geostationary Satellite Launch Vehicle)까지 보유하고 있어서 우리나라에 비해서는 매우 유리한 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인도의 인공위성기술을 다루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발사체는 말할 것도 없고 위성의 경우도 미국, 러시아, 유럽, 일본, 캐나다 등 선진국은 물론 인도, 중국, 이스라엘, 브라질, 등 후발 국가에 비해 낙후되어 있다. 하지만 세계적인 수준의 정밀기계와 전자분야 기술 등을 고려해 볼 때 우리나라는 잠재력만큼은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인도의 ISRO와 같이 거대하고 강력한 우주개발기구를 정부에서 적극 지원해 준다면 단시간에 우주기술 세계 10위권 진입이 가능하리라 본다.
- 저자
- K. Thyagarajan, D.V.A.Raghava Murth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65
- 잡지명
- Acta Astronautic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375~1382
- 분석자
- 김*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