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장내균총과 건강 노화
- 전문가 제언
-
○ 장내균총에 대한 대부분의 지식은 S자형 결장의 미생물 조성을 나타내는 분변 시료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분변 비피더스균의 증가 자체는 장 건강을 위한 지표의 하나일 뿐이며 진정한 의미의 건강증진 효과는 아니라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 노화가 진행되면서 면역기능의 감퇴 및 영양상태의 변화와 수반되어 질병 발생의 증가로 인한 약물처리는 장내균총의 조성을 변경시키게 된다. 노화 자체는 전반적인 위장관 기능에 대해서 거의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위장관의 적응력이 감퇴하기 때문에 고령자는 질병 또는 상해로부터 빨리 회복하지 못하게 된다. 위장관에 대한 적응력 감퇴는 또한 고령자의 약물처리 내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 Probiotics, prebiotics 및 synbiotics는 장내 미생물 활성 및 면역상태를 조절하여 고령자의 위장관 문제를 완화하는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Probiotics와 prebiotics는 장 기능을 정상화하여 변비를 완화할 수 있다. Prebiotics는 무기물의 흡수를 향상시키는 기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발효작용을 지원해서 결장 상피조직의 건강을 도와준다.
○ 건강한 노화(well-ageing)에는 위장관과 관련된 질병이 수반되기 때문에 향후에는 약물처리의 부작용 등과 같은 일반적인 질환 모두를 완화시키는 probiotics, prebiotics 및 synbiotics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일반적인 면역능력의 변화는 건강 상태의 실질적인 향상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면역 biomarker 평가와 임상결과의 측정을 통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장내균총의 정착 수준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은 균주 동정에 사용된 기술에 좌우된다. 실제로 미생물 배양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은 분자생물학적 계수법보다 비피더스 균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사용하여 인체 장관 전체의 미생물 구조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장내균총 조성의 변화를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저자
- Kirsti Tiihonen, Arthur C. Ouwehand, Nina Rauton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9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07~116
- 분석자
- 정*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