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극 감응성 재료의 최근 진전 및 미래 전망

전문가 제언
○ 생물계에 내재된 자극반응 능력과 특이성에 관심을 갖고 우선적으로 생물의학 분야의 진보를 위한 확실한 기회를 이끌 수 있다는 확신으로 자극?감응성 고분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 실제로 질병 또는 건강상태에서 쉽게 결합되는 생체 고분자와 저분자(예를 들어, 포도당)의 특정한 상호작용에 감응하도록 특성을 조정한 합성 고분자로서 당뇨병 치료의 자가?제어(shelf?regulated) 인슐린 공급시스템 및 인공췌장의 개발 가능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 최근까지 자극?감응성 고분자의 연구동향의 대부분은 유기 겔인 하이드로겔 구조에 기초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 등은 부가가치가 높은 외부 자극인 온도, pH, 농도 감응형 고분자 겔에 대한 연구가 특히 활발하였고 그동안 축적된 원천기술의 보호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전기, 자기, 초음파, 광 감응성 고분자 겔에 대한 연구로서 그 범위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

○ 외부의 자극에 의해 특성이 변하는 고분자에서 특히 생체분자 하이브리드 소재가 최근 각광받고 있다. 특히 광감응성 소재는 빛에 의해 가역적으로 색이 변하는 포토크로믹 재료로서 바이오 스위치 개념이 중요하게 되었다.

○ 한국생명공학연구팀은 광감응성 포토크로믹 분자와 생체분자의 결합에 의한 하이브리드 분자를 개발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분자 진단, 이미징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또한 영남대의 융합형 첨단 유기겔 사업단은 경북의 지원을 받아 포항공대 및 14개 기업이 연구개발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2004년부터 유기겔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활동하고 있으며, 향후 국내의 유기겔 산업발전에 큰 기여가 기대된다. 유기겔 분야는 향후 IT, NT, BT, ET와 결합하여 최첨단 유기겔 사업으로 성장 시 세계시장 규모가 수십조 이상으로 예상되는 유망한 분야다.
저자
Debashish Roy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Progress in Polym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78~301
분석자
나*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