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발광 트랜지스터
- 전문가 제언
-
○ 본고에서는 유기발광 트랜지스터, 특히 양극성 발광 트랜지스터를 중심으로 해설하였다. 유기반도체 재료의 전하 수송, 여기자 재결합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또 디스플레이에 응용뿐만 아니라 실현 불가능하다고 생각해 온 전류여기에 의한 유기재료에서 레이저 발진을 최근 주목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 최근에 유기 LED는 광시야각이나 빠른 응답속도로 인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많이 기대되고 있다. 조명등이나 핸드폰, MP3 플레이어, 소형 TV, 앞으로 면광원이나 고휘도가 이루어지면 일반 전등으로도 각광을 받으리라고 생각된다. 또한 무기 LED 및 LCD보다 낮은 전압으로 높은 고효율로 동작하는 장점이 있다.
○ 현재 삼성이나 소니에서는 유연한 유기 LED 제작의 제품을 출시하겠 다고 공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투명전도성 산화물(TCO) 플렉시블 반도체도 선보일 태세이며, 현재는 유기 LED 조명분야에서 대부분의 소재 원천기술을 일본, 미국 등의 대학연구실에서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 발표된 논문에는 전도성 필름이라는 플렉시블 투명전극은 플렉시블 유기박막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면 저항의 크기에 따라 정전기 방지 막, 안테나 광학필터로도 응용이 가능한 정보전자 에너지 분야 의 핵심 부품 분야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이 분야의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한한 응용분야이다.
○ 앞으로 교통신호등 유도등 및 간판, 가로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명등을 친환경등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LED와 함께 조명용 소자로서 사용될 OLED 소자 개발에 투자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여러 나라가 경쟁하고 있는 실정이다. LED는 점광원인 반면 OLED는 면광원으로 발광재료가 유기물이라는 차이다. OLED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기장이 유기발광 물질에 전달되어 유기물 내에서 전자와 전공이 재결합함으로써 발광되는 면광원이다. 앞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저전력, 고휘도, 고반응속도, 저중량 등의 특성으로 가격경쟁에서도 저렴하여 기대되는 분야라 할 수 있다.
- 저자
- NAKANOTANI,Hajime.ADACHI,Chihay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48(2)
- 잡지명
- 光技術コンダクタ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51~55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