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노화와 연령관련 질병에서 후성유전학의 역할

전문가 제언
○ 후성유전학은 DNA 염기서열의 변화가 생기지 않으면서 유전자의 조절에 변화가 일어난 현상을 연구한다. 예를 들면 만능줄기세포가 분화해서 근육세포로 변하는 과정에서 DNA 염기서열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유전암호와는 무관한 후성유전학적 변화에 의해 두 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종류와 양, 그리고 그로 인한 표현형에는 큰 차이가 생긴다.

○ 가장 잘 알려져 있는 후성유전적인 변화는 메틸화, 아세틸화, 유비퀴틴화 및 인산화를 포함하여 DNA 메틸화와 히스톤 전사 후 변화다. 많은 병리는 DNA 메틸화 변경과 관련되고 가장 잘 연구된 것은 암이다. 잘 연구된 또 다른 후성유전적인 기작은 히스톤 변경이다.

○ 노화와 연령관련 질병에서 후성유전학의 역할은 어떤 후성유전의 요인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유전체와 환경 사이의 관계를 중재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분자 생리학과 의학에서 중요한 문제다. 노화에서 후성유전학의 활동적인 역할은 2개의 전제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그것은 노화 동안 특정한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되어야 하고 그들은 노화 표현형과 기능적으로 연관되어야 한다.

○ 특정한 후성유전 변형이 노화 표현형에서 기능적인 직접적인 결과가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그들이 유전, 환경 또는 확률론적 요인에 의존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이될 수 있는지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환경의 영향 탓으로 생기는 후성유전물질의 변화가 암을 일으킨다는 기작이 밝혀진다면 메틸기와 같은 후성유전물질을 조절하여 유전자의 기능을 정상으로 돌리는 방식으로 암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Vincenzo Calvanese, Ester Lara, Arnold Kahn, Mario F. Frag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8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68~276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