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원체의 탐지를 위한 펩타이드 프로브 기반 바이오센소의 개발 현황
- 전문가 제언
-
○ 주로 자연 환경에서 병원체를 탐지하는 기술은 근래에 들어와서 그 이용 빈도와 유용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혈액과 같은 임상 시료와는 다르게 환경에서는 온도 등 반응 조건이 열악한 경우가 많다.
○ 따라서 자연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병원체를 넣거나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바이러스, 세균 및 원충 등 다양한 미생물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열악한 온도 조건에서 견딜 수 있는 시약이 요구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환경에서의 병원체 탐지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수돗물에 존재할 수 있는 감염성 병원체의 존재에 대해서 관심이 증대되어 이 분야의 실험이 증대되어 왔으며 식료품, 하천 물에 대한 병원체 검사가 증대되고 있다. 이 외에 생물테러에 대비한 검사가 증가되고 있다.
○ 현재까지 수행해 오고 있는 병원체 검사는 항체와 결합하는 병원체를 효소 등의 방법으로 탐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PCR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시험 방법은 전기 시설이 요구되고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예를 들면 우송된 탄저병 의심 가검물에 대한 진위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 내에 규명이 필요하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안정적이며 동시에 특이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본 분석물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분석 대상 병원체와 프로브 사이에서 반응 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변화를 전기적 파장 등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이러한 기술들은 시장 수요가 대단히 클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자체적으로 이러한 원리들을 이용하여 상업화 제품으로 개발할 것이 요구된다. 관계 정부 부서와 산업계에서 이 기술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과 지원이 있기를 요청한다. 근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휴대폰 시장과 같이 환경에서의 병원체 진단 분야도 수요가 급증하기 때문에 노력에 따라서는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
- 저자
- Jason E. Dove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78(1)
- 잡지명
- Journal of Microbiological Meth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0~19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