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질에 전기화학방법으로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형성
- 전문가 제언
-
○ CNT(Carbon Nano-Tube)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특이한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고강도 복합재료에서부터 의료용, 전자재료 등 다양한 용도에 응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CNT는 분말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기에 편리한 필름 혹은 섬유형태로 만들기 위해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실리콘기판 위에 직접 CNT필름을 형성시키는 기술도 개발되어 있으나 코스트가 높은 것이 단점이다.
○ CNT를 이용한 FED를 LCD의 백라이트유닛 등으로 사용한 예도 알려져 있다. CNT와 바인더를 사용하여 스크린프린트, CVD 등에 의해 기질에 필름형태로 코팅하여 CNT전계방출소자 등으로 응용한다. 그러나 CVD방법은 크기에 제한이 있으며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고 스크린 프린트는 열처리 공정에서 CNT의 손상을 가져온다. 스프레이 코팅은 CNT와 기질의 접착력이 나쁜 단점 등이 있다.
○ 본 발명은 CNT를 핵산고분자 등의 음이온 고분자를 이용하여 물에 분산시키고 전기화학-셀을 이용하여 ITO가 코팅된 양극에 침착시켜 LED의 음극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NT와 RNA, DNA 등의 핵산이 복합체를 형성시켜 CNT를 분산시킬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한 단계공정으로 균일한 CNT필름을 경제성이 높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실리콘기판 등에 CNT를 필름으로 제조하는 코스트가 높은 방법에 비해 가격이 낮은 분말CNT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이 상당한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 국내에서도 CNT는 상업생산 중이며 CNT를 필름으로 만드는 연구도 활발하여 CNT와 핵산복합체 분산용액을 제조하고 스프레이 코팅하는 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다. 국내디스플레이업계에서도 CNT를 이용한 FED연구에 상당한 진전이 있어 소형 TV까지 제조할 수 있는 수준에 와 있다. CNT를 이용한 FED는 일본기업들이 가장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으며 앞서 있다. 디스플레이분야에서 세계 1위를 자랑하는 국내기업들이 장점이 많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기대되는 FED분야에서 일본에 뒤지지 않기 위해 분발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E. I. Dupont de Nomours and Company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2162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3
- 분석자
- 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