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한국 에너지재료의 개발동향

전문가 제언
○ 국내에서는 KPE(주), 현대중공업(주) 등이 실리콘 태양전지를 생산하고 있다. LG그룹은 실리콘 잉곳부터 태양전지까지 수직계열화로 사업화를 개시하였다. 삼성그룹(삼성SDI)은 세계 톱 수준으로 다년간 개발 축적한 실리콘 태양전지의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OCI 등은 원료인 폴리실리콘 생산/공급에서 세계적 수준이다.

○ 국내 성균관대학교 이준신 교수와 세종대학교 이수홍 교수는 삼성SDI와 더불어 한국의 실리콘 태양전지 산학연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의 고가대책으로 경제적 박막태양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이글에서 한국에너지연구원(KIER) 우상국 등은 한국 내 에너지재료 개발동향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다. 태양전지,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소재와 고효율, 고청정에너지 소재에 관한 이차전지 개발동향을 설명하고 있다.

○ 한국의 연료전지는 현대기아자동차가 운송용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스택을 개발에 참여하여 5년 전에 승용연료 전지스택을 개발하였고 3년 전부터 국내 연료전지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한국에너지연구원에서는 고체연료전지 관련기술로서 원통형 연료극지지체 튜브 셀 및 이를 이용한 급속기동형의 고체연료전지스택을 개발하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10년 전부터 연구를 계속하여 현재는 시스템 안정화와 저온성능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노트북, 휴대전화, DMB, MP3 등의 이동용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최근 디지털융합에 의한 소형, 고용량의 이차전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LG화학이 리튬 이차전지를 생산하여 일본 소니에릭슨사에 공급하고 있다. 삼성SDI는 최근에 10억 원의 매상을 올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 국내 박막태양전지는 두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한국에너지연구원(KIER)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개발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 그리고 광주과학기술원(GIST) 내 히거신소재연구센터가 세계 최고 변환효율을 기록한 유기고분자 태양전지가 있다. 향후 원천기술에 의한 핵심부품 원료국산화를 위한 거국적 지원이 요구된다.
저자
Woo sang ku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47(1)
잡지명
材料の科學と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3~18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