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포장, 생산체계 및 신기술의 최근 동향

전문가 제언
○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모든 제품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오늘날의 세계화된 시장에서는 식품의 안전성 유지, 영속적인 포장재의 사용, 융통성을 겸비한 표준화된 기술의 실행, 입증된 관리방침 등을 채택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따라서 제조공정 개선을 통한 가동률 향상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 및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영향력이 증가되는 추세로 볼 때 식품가공 및 포장업체는 전형적으로 엄격한 법 규정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매우 한정된 유통기한 동안만 제품을 취급해야 하기 때문에 준비기간(lead time)을 최대로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호주에서 2002년에 체결된 SPA(The Sustainable Packaging Alliance)는 포장의 효과, 효율성, 재활용성 및 안전을 포함한 각종 요인에 집중한다. 이는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 포장시스템이 제품 주기를 통하여 수송, 취급, 저장 등과 같이 상호 연관되는 지원 시스템과의 상호작용 범위 내에서 에너지와 물자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FDA(2009)와 USDA(2009)는 식품과 음료산업의 품질관리 및 이력 추적관리에 대한 규칙을 강화시켰다. 따라서 비용이 증가되는 이런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절감하는 제조공정 개선이 필요하다. 결국 식품 보존, 제조, 포장, 취급 등의 현대적인 통제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식품공장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 현재 식품가공, 포장, 제조 등의 개별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나 전 공정에 대한 전체론적인 시스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분야의 과학적 발전이 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저자
Nitaigour P. Mahalik and Arun N. Nambia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1
잡지명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7~128
분석자
정*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