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수송연료별 화석연료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의 수명주기 평가
- 전문가 제언
-
○ 선진국들은 수력발전의 잠재력을 거의 개발하였고 최근에는 재생에너지 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수송연료가 차지하는 점유율이 20% 이하인 경우가 많지만 세계 전체적으로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수송연료 점유율이 거의 30%에 달하고 있다. 이는 개발도상국의 경우에 산업 수준이 낮고 수송연료를 거의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어 온실가스 배출량의 수송연료 점유율이 높기 때문이다.
○ 따라서 온실가스 감축대책에서 수송연료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으며 국제사회는 개발도상국의 수송연료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수송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대책은 주로 바이오연료 이용에 집중되고 있는데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한 수송 분야의 대체에너지로는 바이오연료가 거의 유일하기 때문이다.
○ 이 자료는 세계 1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이고 강력한 온실가스 감소정책을 펼치고 있는 중국을 중심으로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주요 국가들의 바이오연료 생산과 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분석하여 요약하고 있다.
○ 바이오연료의 원료, 생산 및 소비 등을 포함한 수명주기 동안의 화석연료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국가별로 또한 바이오연료의 종류별로 분석하고 있으며 이들 수치를 휘발유, 디젤, LPG 및 CNG 등의 각종 화석연료와 비교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 수송연료의 수명주기 동안의 화석연료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보고서는 세계적으로도 많지 않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바이오연료에 대한 이러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수행한 결과가 발표되지 않고 있다. 본 자료는 우리나라의 수송연료 및 바이오연료 정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참고자료라고 사료된다.
- 저자
- Xiaoyu Yan, Roy J. Crooke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13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505~2514
- 분석자
- 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