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운영시스템(NOS) 기술
- 전문가 제언
-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인터넷이 연결된 단말을 통해 대용량의 컴퓨터 집합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스토리지/운영체제(OS)/네트워크 및 콘텐츠 보안 등 필요한 IT자원을 원하는 시점에서 필요한 만큼 선택해서 사용하게 되며, 사용량에 근거하여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이 기술은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구축에 필요한 네트워크 운영체제 설계 시 확장성/무결성/연결보장성 등을 위한 설계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 이 기술에서의 NOS를 구성하는 각 노드들은 필요 시 사용자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노드와 통신하면서 호스트의 자원을 액세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정한 자원에 대해서만 액세스가 허용되기 때문에 노드 간 파일을 복사하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메커니즘을 통한 파일 전송 시 자신의 파일시스템을 유지해야만 다른 노드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국제표준이 아닌 이종 네트워크에서도 NOS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이 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IP 기반의 NOS는 인터넷 주소체계와 직결된 문제이기도 하다. 그간 국내 IPv6 도입 활성화 추진실적을 보면, IPv6 기반 라우터/홈 게이트웨이 등에 대한 상용화와 시범사업을 통해 약 10만 명의 이용자를 확보하여 11.3%의 도입률을 기록하였다. IPv4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8%밖에 남아 있지 않아 특히 수요가 많은 한국의 경우 더 빨리 고갈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네트워크장비 업체들은 IPv6체계에 대응하는 IPv4/IPv6 장비를 공급하여 과도기의 완충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 2009년 8월말 기준 국내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는 xDSL, HFC, LAN, FTTH, 위성 방식을 모두 합하여 16,040,880명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인터넷의 네트워크 운영체제(NOS)는 보안성, 이동성, 경제성, 확장성, 견고성, 신뢰성, 편의성, 서비스 품질, 속도, 콘텐츠의 정확도 향상 측면과, 특히 모바일 인터넷 및 SNS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NOS 기술의 업그레이드는 필수적이다.
- 저자
- XCERION AB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4303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93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