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초지로부터 바이오가스 에너지생산
- 전문가 제언
-
○ FCW(Farm Constructed Wetlands)를 포함한 초지는 매력적인 미학적 표현을 할 수 있다. 물의 조화에 의한 식물의 성장 및 야생의 조화는 미래를 돋보이게 하는 기본 요소가 된다. 이러한 초지는 세계에 많은 사례가 있다. FCW의 미학적 표출은 육지 형성 설계를 통하여 확실하게 최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건축에 의해 더욱 충족될 수 있다.
○ 우리나라 초지 농장조성 사업으로는 새만금으로 유입되는 익산천과 유천·요암천·삼천 등 4개 하천을 자연형으로 조성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사업목적은 새만금의 수질을 개선하고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사업비는 국비·지방비 등 총 722억을 투입하여 2011년까지 3년에 걸쳐 추진할 계획이다.
○ 목초는 계절적으로 저장되지만 바이오가스 플랜트는 지속적으로 원료 공급이 되어야 하므로 원료의 비축이 필요하다. 예비 비축은 생목초로 최소의 에너지 손실이 되도록 잘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수확 바이오매스는 앞으로의 공정을 위해 절단 준비되어야 하고, 혐기상태의 저장 기간 동안 소화 작용이 잘 일어나도록 여러 가지 조치가 필요하다.
○ 목초 원료비용은 발효, 재파종, 기계적 처리, 지하수면 조절 등의 초지 관리와 수확, 저장 및 사일로 투입, 사일로 반출 등 바이오가스 플랜트로 공급과 세금, 보험 등이 포함된다. 생풀 건조 저장에 투입되는 비용은 주로 수율에 의존하고 관리 면에서는 수송거리 및 기계사용 현장 조건 즉 농지규모, 수송 용이성, 경사 등에 달려 있다
○ 이 리뷰에서는 초지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가스 생산 타당성을 조건에 따라 달성할 수 있었다. 소규모의 공급비용, 대규모 플랜트, 열 사용 및 토지 사용을 위한 비용은 경제적 가능성을 전제로 하였다. 개발 국가에서는 바이오에너지 잠재력을 도출하고자 초지 사용량을 괄목할 만하게 증가시키고 있으나 식량 부족 국가와 개발도상국은 초지를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사용하기 이전에 동물 사료 공급에 사용하고 있었다.
- 저자
- A. Prochnow,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00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931~4944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