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위장관 내 생물막의 억제 및 처리방법

전문가 제언
○ 미생물은 표면이나 상호 간에 부착할 수 있는 생물막을 형성하여 자연계나 생체 내에 생존하는 경우가 있다. 환경산업에서 생물막은 냉각수 탑, 수도관, 막 장치 등의 내부에 발생하여 막힘과 부식을 일으키며 식품공장의 설비에 발생되는 생물막은 부착물의 원인이 되어 식품위생상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임상의료 분야에서는 충치, 치주질환을 비롯하여 낭성 섬유증, 기도 감염 등 인체의 세균성 질병의 감염원이 된다.

○ 최근 미생물의 쿼럼센싱 신호와 생물막의 생성은 의료관련 병원균, 특히 P. aeruginosa, S. aureus, 장 내 세균에서 많이 보고되고 있다. P. aeruginosa는 병원 내의 감염과 폐 감염과 관련된 낭성 섬유증을 일으키며, S. aureus는 단순한 피부감염에서 독성쇼크 증후군까지의 폭넓은 질병을 일으킨다. 장 내 세균은 장 관련 감염은 물론 요로감염증과 용혈성요로 증후군 같은 합병증을 일으키는 미생물 그룹이다.

○ 따라서 자연계나 산업공정에서 발생되는 생물막과 동식물의 감염과 관련되는 생물막의 생성을 예방하고 처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발명에서는 인체의 질병과 관련되는 생물막의 생성을 억제하고 제거하기 위하여 생물막을 분해하는 여러 가지 효소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제조하여 생물막 생성과 관련되는 몇 종의 미생물을 대상으로 생육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세균 종에 대하여 이들 효소제품의 효과를 밝힐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세균시스템에서 생물막 형성은 신호조절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므로 이 신호조절 단백질의 역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형성된 생물막의 억제나 처리도 중요하지만 기존의 생물막 억제제와 차별화된 새로운 신호전달기전의 차단제로서의 생물막 억제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편 많은 폐수처리 공장에서는 폐수가 여과기에 형성된 생물막을 통과하는 처리단계에서 유해한 유기물질을 추출하거나 분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생물막은 유용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자
Prothera,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WO20090100456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5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