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780MPa 및 950MPa급 고장력강의 용접재료

전문가 제언
○ 최근 철강재료의 고강도?고기능화 추세에 따라 고급강재의 혁신적인 용접기술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용접재료의 경우 용접금속에서 횡균열과 같은 저온균열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플럭스코어드 와이어의 저수소화와 용접부 내의 확산성 수소 관리, 용접금속의 미세조직 제어 등이 주요 기술로 개발되고 있다.

○ 강도가 높은 용접금속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변태, 조직형성을 지배하는 열이력, 모재와의 희석 등을 통해 용접금속 미세조직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용접금속에 있는 개재물 중에서 Ti계 산화물(TiO, Ti2O3)과 Al­Mn계 MnAl2O4(galaxite) 산화물 등은 개재물과 페라이트 격자 간의 정합성이 좋아 침상(acicular) 페라이트를 생성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처럼 개재물을 활용하여 용접금속의 조직을 제어할 때는 개재물로부터 조직형성의 메커니즘, 개재물의 역할을 충분히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고장력강용 플럭스코어드 와이어의 개발에서는 고전류에서의 저스페터화, 무동 와이어(Cu-free Wire)에 의한 아크 안정성의 확보, 유해 퓸(fume)의 제거에 의한 작업환경 개선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고장력강 용접재료 중에서 피복제를 도포하는 SMAW 용접봉과 플럭스를 이용하는 SAW 재료에서는 탈산성분의 첨가와 고염기도화가 효과적이다. GMAW용 와이어의 경우에는 보호가스(shieding gas)의 CO2 비율을 낮추어 아크분위기 중의 산소원을 강력히 억제해야 하며 와이어 제조시 탈산성분의 첨가가 효과적이다.

○ 수평 필릿용접용 플럭스코어드 와이어, 전자세 용접용 플럭스코어드 와이어, 맞대기 용접용 플럭스코어드 와이어 등의 개발을 정리한 NEDO 보고서(革新的溫暖化對策技術プログラム, “省エネルギ?型鋼構造接合技術の開發", 獨立行政法人 新エネルギ??産業技術綜合開發機構, 2006, pp.1~186)는 초미세립 고장력강의 용접재료를 개발하는 데 유익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저자
Sato Munenob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78(6)
잡지명
溶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50~554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