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형 마이크로 로봇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마이크로 로봇의 구성부품 중에서 소형화의 관건이 되는 것이 몇 가지 있다. 제어를 담당하는 전자부품계는 비약적으로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고, 한편 액추에이터 구동기구 등의 기계부품은 소형화의 진전이 둔하고, 마이크로 로봇의 액추에이터가 기구부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우선 소형일 필요가 있다. 액추에이터에 관해서는 전자식을 이용한 것이 일반적인 로봇에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소형화에 반드시 적합하지는 않다.
○ 형상기억합금이나 압전재료 등의 기능성 재료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장래의 소형화에 대응하는 시험을 하고 있다. 생물의 뇌신경계에 더욱 가까운 제어방식으로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활용하는 가능성도 찾고 있다.
○ 적층 압전소자로 MEMS에 의해 제작한 로봇을 고정하고 같은 MEMS 기술에 의해 제작한 슬라이더를 마찰이 걸리도록 밀착시켜 조합했다. 적층 압전소자의 구동전압파형은 톱 파를 이용한다. 일정비율로 전압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압전소자를 신장시켜 슬라이더를 롯드(rod)와 함께 전방에 계속 내보낸다.
○ 미래의 로봇산업에는 마이크로 로봇, 서비스 로봇, 우주공간 로봇, 자동운송 로봇, 오락용 로봇 등이 예상되나 마이크로 로봇 또는 극소형 기계의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마이크로 로봇 등 다양한 종류의 로봇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고, 생체 모방형 인간형 로봇, 지능형 홈로봇, 자율주행형 내시경 로봇 등을 국가과제로 개발했거나 개발 중이다.
○ 마이크로 로봇이 개발되려면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재기술과 나노기술 등이 발전하고 있으므로 마이크로 로봇의 개발과 그 응용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와 개발이 장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Fumio Uchikob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61(9)
- 잡지명
- 機械の硏究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871~877
- 분석자
- 남*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