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안전에 관한 국제규격 및 기술자윤리 문제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는 선진국들과 비교하여 보면 사회 인프라시설이나 산업공장에서의 사고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며, 특히 중화학공업단지 내의 화학공장들에서 간헐적이지만 대형 안전사고들이 수시로 일어나는데 이러한 사고의 대부분은 기기장치, 시설들의 정비 불량이나 운전미숙에서 일어나는 소위 안전 불감증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 인재로 인한 안전사고를 줄이는 방법 중의 하나가 공장 설계 자체를 사고의 가능성을 철저히 배재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되며, 이러한 안전설계는 예비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전 공장 시설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안전을 위하여 “HAZOP(Hazard And Operability Study)”를 도입하여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으나 ”HAZOP“은 설계단계의 후반기에서 만들어지는 P&ID(Process and Instrumentation Diagram), 사양서 등을 근거로 하여 작성되며 주로 인허가 목적이다.

○ 기술자 윤리란 기술자가 그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판단의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윤리적 기준으로 기술자는 기술을 원점으로 하여 인류나 공공사회에 기여해나가는 것을 그 업무로 하고, 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판단기준은 자기가 소속되어 있는 사회의 참다운 행복 추진이며, 이것이 기술자 윤리의 기준이다.

○ 기술자 윤리 교육은 미국 대학의 경우, 정규 교과 과정으로써 공학 윤리 혹은 기술자 윤리 교육으로 1980년대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JABEE(일본 기술자 인정기구)의 출현과 더불어 공학 윤리, 기술자 윤리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저자
Koh Mita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61(3)
잡지명
機械の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344~348
분석자
임*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