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통신에 의한 인체 네트워크
- 전문가 제언
-
○ Body Area Network(BAN)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 BAN의 응용은 작은 전극으로 구성된 인체의 접점들을 근 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초기 건강 모니터링 및 의료 구호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건강관리/의료서비스 분야가 있으며, 또한 타 무선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인체 자체를 전달매체로 이용하여 사람의 인체를 둘러싸고 있는 휴대 전자 기기들의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인체통신이 있다.
○ 인체통신의 연구는 1996년 미국 MIT의 인체 등의 유전체에 유도되는 정전계를 이용하는 통신방법의 특허를 시작으로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일본 마쓰시타는 2004년 9월 세계 최초로 체내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인체통신 응용 제품을 출시하였으며, NTT는 2005년 2월에 인체의 표면 전계 변화를 이용한 방법으로 최대 10Mbps 전송 속도를 갖춘 시제품을 공개하였다. 현재 Sony, Honda, 동경대, 필립스, 스위스, MIT, IBM, 프랑스텔레콤 등 세계 도처에서 인체통신의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 국내에서는 2003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인체통신과 관련된 연구를 시작해 최대 1Mbps의 인체통신 기술개발을 완료한 상태이며 ETRI는 장기적으로 최대 100Mbps의 속도를 개발한다는 계획 아래 현재 활발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MP3, PMP, 핸드폰의 데이터를 피부를 이용해 이어폰까지 무선 전송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이러한 국내 현황은 상용화된 제품을 자국 내에 발표하고 있는 일본의 마쓰시타, NTT에 비하면 제품의 개발 속도가 뒤쳐진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 인체통신은 저 전력의 오직 인체에 국한되는 소규모의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무선기술에서 발생하는 BAN 간 간섭현상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속도 역시 현재 개발 된 최대 10Mbps를 최대 100Mbps를 목표로 개발 중에 있으므로, 미래에 BAN을 활용한 건강관리/의료서비스 응용뿐만 아니라 휴대 전자 기기들 간과 사람들 간의 고속 데이터의 전송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는 또한 wearable computer 등의 입는 컴퓨팅 기기의 관심도를 초래 할 것이다.
- 저자
- Heribert Baldus, Steven Corroy, Alberto Fazzi, Karin Klabunde, and Tim Schen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47(6)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72~178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