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측위 기술 현황
- 전문가 제언
-
○ 무선 네트워크의 측위 기술로는 3개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여 삼각측정법에 의한 추정법인 ToA 및 TDoA 기법, 2개 이상의 수신신호의 각도를 측정하는 AoA 기법 등을 들 수 있다. 미국의 항행원조시스템인 LoranC 시스템은 TDoA 기법을, 위성항법시스템인 미국의 GPS와 러시아의 GNSS는 ToA기법을, 그리고 군용측위시스템으로 주로 레이더를 이용한 AoA 기법을 각각 사용하고 있다.
○ 미국의 E911의 법제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정을 위하여 기존의 삼각측정법, AoA 등과 더불어 무선 지문 등의 새로운 측위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기존 방법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측위 시그널링 및 절차 등을 첨가하기 어려운 기술적인 한계로, 후자의 새로운 방법은 전파패턴 맵 구축과 정확도의 만족을 얻기 어려운 한계 등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GPS에 의존하는 단말기의 측위방법을 상용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독자적인 무선 측위 기술의 연구개발을 위한 국책사업을 검토하였고, 국가연구기관 및 업체에서도 기술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3G까지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는 LBS 규격이 정립되지 않아 측위기능이 새로이 첨가되어야 하는 한계로 인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만족할 만한 측위 방법의 개발은 실현되지 못하였다. 반대로, 몇몇 중소기업들은 창고 내 물류 추적, 컨테이너 관리 등을 위한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을 상용화하여 소규모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최근 무선데이터의 킬러 서비스로의 LBS가 크게 대두되면서 4G인 모바일 와이맥스와 LTE 시스템 표준에 단말기 측위 규격이 포함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도 측면을 고려할 때 옥외에서는 GPS가, 실내에서는 무선 측위기술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형태가 각각 구현될 가능성이 짙다. 이와 더불어 UWB나 WiFi 또는 다른 무선 신호를 이용한 건물 내, 주차장 등 한정된 공간에서의 무선 측위기술의 응용성도 크게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각 응용분야의 특성에 적합한 한정된 공간의 무선 측위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 저자
- Vasileios Lakafosis and Manos M. Tentzer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10(7)
- 잡지명
- IEEE Microwave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4~41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