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고설계와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포괄적인 고찰
- 전문가 제언
-
○ 창고운영은 물품을 접수, 저장, 주문인출(order picking) 및 출하(shipping)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한다. 창고설계에는 5가지 의사결정이 있는데 그것은 전반적인 창고구조 결정, 창고 및 구역 크기와 치수 선정, 각 구역에 세밀한 배치 결정, 창고장비 선정, 그리고 창고운영 등이다. 따라서 창고설계 의사결정은 주로 이 5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창고설계 변경에 관한 의사결정은 창고운영의 변화를 추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향후 창고설계 연구과제는 상기 난관을 극복하는 방안을 찾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핵심은 창고 요소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고 개방자원분석(open-source analysis)과 설계모델과 같은 연구기준이 되는 수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실제 문제에 비추어서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잠재적 이점을 찾고 연구모델을 실증해 보인다면 창고 업무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분석적 모델은 많은 대안을 찾는 장점은 있으나 시스템 상에 상세한 면을 파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편 시뮬레이션 모델은 주어진 설계를 평가할 수 있으나 설계 범위에 상당히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그래서 창고문제를 분석함에 있어서 더 융통성이 있고 통합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 발표된 창고연구와 실제 창고설계 및 운영 간에 큰 괴리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실무그룹과 연구자 간에 상호 의사소통도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괴리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연결 수단을 개발한다면 창고설계를 개선할 수 있는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공급망에서 창고는 기본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창고에 관한 연구는 전반적인 공급망 연구 중에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며, 창고설계 연구도 종합보다도 저장시스템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창고에 관한 통합적인 설계와 운영에 주안을 둔 연구가 더욱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 저자
- Jinxiang Gu, Marc Goetschalckx, Leon F. McGinn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203
- 잡지명
-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539~549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