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과 제조공정 분야에서 MEMS의 응용
- 전문가 제언
-
○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의 응용분야는 다양하다. 이미 자동차, 광학기기, 휴대용 전자기기, 인쇄, 바이오의료, 통신, 에너지, 항공우주, 게임기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거나 확산 중이다.
○ 현재 MEMS 디바이스시장은 자동차와 통신, 바이오의료용 센서와 일부 액추에이터 MEMS가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가속도미터, 각속도 센서, 압력센서, 잉크젯 프린터헤드, 프로젝터용 DMD, 자이로스코프, 타이어 압력측정시스템(TPMS)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 이 논문은 MEMS의 산업 및 프로세스에 초점을 두고 응용현황을 다루고 있다. 이미 MEMS의 산업부문 또는 제조공정에서의 응용은 확산 중이다. MEMS 디바이스가 소형화, 고기능, 고감도, 코스트다운, 에너지절약 등의 효과를 각종 제조프로세스에 도입하고 있음을 분석했다.
○ 특히, MEMS의 산업응용의 사례분석 대상으로 자이로스코프와 마이크로 입자를 세부적으로 다룬 것은 응용여부에 따라 MEMS기술 응용이 산업부문에 광범위하게 확산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관성센서와 내비게이션용으로 널리 응용 중인 자이로는 회전기계, 광산기계, 농기계, 건설기계, 석유탐사에도 도입 중이며, 마이크로 입자에 의한 액적은 잉크, 전자부품, 마이크로엔진, 생화학용 마이크로 칩에 응용 중이다.
○ 국내 연구원들의 MEMS 연구는 논문 수에서 국제상위권에 들만큼 활발하다. 논문에는 산업응용 테마도 많다. 특히, μ-TAS와 같은 바이오MEMS 관련 분야에서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는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외국에 비해 MEMS기술의 산업화를 위한 인프라는 낙후한 상황이다. 대만과 중국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 앞으로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NEMS)의 출현이 예측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MEMS기술에 의한 툴에 의해 가공된다. 정부의 MEMS제조 인프라의 형성과 함께 NEMS에 대한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도전이 필요하다.
- 저자
- Robert Neal Dean, Jr., Antonio Luqu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56(4)
- 잡지명
-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913~925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