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선에 의한 RFID 태그 정보식별

전문가 제언
○ RFID 듀얼 태그나 멀티 리더 기능으로 UHF/HF 규격을 병합하여 응답 포맷, ID 체계, 충돌 방지 등을 구현하기 위한 ISO/IEC 18000-3 mode 3 및 UHF 18000-6 Type C와 통합규격이 추진되어 왔다. 이 배경에는 사실상의 De-facto 표준인 EPC global 조직이 시장 확산을 추구하고 있어 UHF/HF 통합을 위한 리더기 및 태그기술이 필요하다.

○ 국제표준화 동향에 맞추어 한국도 표준관련 영향력 행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노력과 함께 최근의 QR 코드의 재조명, MIT의 신규 DOT 코드 구현, Alien Tec.사의 Photo Current를 이용한 RFID 센싱 메커니즘 같은 특허출원 추세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국내 연구개발에 반영하여야 한다. 융합기술(바코드/QR 코드/도트코드/RFID/광세분화 식별기술 등을 병합)을 적용하는 복합 리더기와 태그 개발, 관련 요소 및 응용기술의 연구개발에 관련조직과 업체의 분발이 요구된다.

○ 2008년까지 RFID 관련 특허로 본 각국의 주요 추진분야는 태그/리더기/미들웨어/모바일/RTLS 기술 순으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태그기술 분야의 선도국가는 미국 특허출원 기준으로 Mitsubishi, Hitachi, Toshiba, Intermec IP, Micron technology 등이며, 최근 Avery Denison, Impinji의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리더기 기술 분야에서 미국등록 및 피인용 기준으로 메이저 출원인은 Symbol Tech., impinji, Intermec IP, Thoshiba, Matsushita, 이 기술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Alien technology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태그 및 리더기의 기술진화 방향에 대한 적극적인 벤치마킹이 필요하다.

○ IC의 광선 민감도를 이용하여 정확한 태그 식별과 부가정보 획득의 경제적 구현에 대한 기술 및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종래의 태그 및 리더기의 충돌 방지나 간섭회피 기술의 고도화와 병행하여 이 기술의 광 강도 및 범위 제어, 위치 및 빔 크기 제어, 복합제품의 동종 광원 적용, IC 광선 민감도 차폐 및 감소기술의 개발을 가속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복제 중심의 신제품 개발이 아닌 시장선점을 위한 기술융합형 복합 리더기의 개발이 절실하다.
저자
ATHERTON, COLLEEN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WO20100019286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70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