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에 의한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 고찰
- 전문가 제언
-
○ 본고에서는 바이오매스에 의한 발전의 지속가능성을 가격, 효율, 온실가스 배출, 가용량, 토지 이용, 용수 사용 및 사회적 충격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바이오매스 원의 종류 및 성장지가 지속성에 주 인자이며 불모지에서 자라는 에너지 가용 작물과 폐기물의 이용이 식량을 생산하는 토지에서 비료를 많이 시비하여 재배하는 에너지 작물보다 지속성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하였다.
○ 그리고 재래식 발전에서는 보건의 위해가 되고 환경 영향이 크므로 대체방안을 강구하여야 하고, 화석연료는 부존량이 제한되고 가격변동이 심하여 재생연료가 에너지 안보의 증대와 안정된 가격 측면에서 유력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2008년 발생한 금융 위기로 재생에너지 등 미래 기술과 시장에 대한 관심을 촉발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명박 대통령이 2008년 8.15 경축사를 통해 저탄소녹색성장을 국가 발전의 의제로 설정하고 전 산업분야의 녹색-화를 추진해 나가고 있어, 바이오매스, 폐자원의 에너지-화 분야도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 업계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 에너지의 97%를 수입하면서도 국내 잠재량이 풍부한 폐자원, 산림 등(약 39억 TOE 추정)의 활용노력이 미흡하여, 이들 바이오매스, 폐자원의 에너지-화 가능성은 중요하고도 매우 시급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 최근 태양광발전이나, 풍력, 지열 등 다양한 분야의 재생에너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관련 기술의 개발과 보급도 다른 분야에 비하여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폐자원, 산림 등의 바이오매스는 저렴한 비용으로 조기성과 창출이 가능하고,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의 유력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나 현실적으로 이루어진 성과는 미미하다. 앞으로의 바이오매스 이용이 기대된다.
- 저자
- Annette Evans, Vladimir Strezov, Tim J. Evan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1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419~1427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