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Rheb-mTOR시그널의세포의 암화로서의 관여

전문가 제언
○ 이 리뷰에서는 mTOR복합체, mTOR를 활성화시키는 Rheb, mTOR의 시그널전달경로, 그의 활성화 메커니즘 등에 관한 해석과 mTOR제어 메커니즘을 파탄시키는 mTOR 활성형변이체에 대해서 최신의 지견을 소개하고 있다.

○ mTOR은 amino산이나 Insulin 등의 영양 및 증식인자에 반응하여 세포의 증식이나 크기, Autophage, Actin 세포골격 형성의 통제 등을 수행하는 다기능성 단백질이다.

○ 대부분의 암세포에서는 mTOR시그널이 파탄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mTOR시그널의 이상 활성화는 암세포의 증식 등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요즘에는 mTOR이 2개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그의 시그널전달 메커니즘이나 활성화 메커니즘이 차츰 밝혀져 가고 있다.

○ 2009년도에 발표된 관련 연구논문에서 계속해서 새로운 mTOR저해제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은 ATP길항형의 저해제로서 작용을 하며, mTOR이 효소영역에 있는 ATP결합 주머니로 유입하여 ATP의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mTORC1뿐만 아니라 mTORC2활성도 동시에 방해받게 되는 특칭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Rapamycine투여는 피드백 방해에 의한 Akt의 활성화가 의심스러웠으나 ATP길항형 저해제는 그의 위험성을 회피하는 새로운 저해제로서 앞으로 항암제로서의 임상적 응용이 기대된다. 이 저해제는 지금까지 규명되지 않았던 mTORC2 시그널전달경로의 해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 해명이 이루어지게 되면 앞으로 기초 및 임상연구에서의 응용이 크게 기대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에 관한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저자
Tatsuhiro Sa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55(1)
잡지명
蛋白質?核酸?酵素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1~17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