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전지의 최신 기술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 대응방안의 하나인 신재생에너지 이용에서 유망 에너지로 우선 태양광에너지가 포함된다. 태양에너지는 야간이나 기후조건에 따라 연속이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용 방법이 비교적 단순하고 난방 외에 발전, 조리, 냉방용 등 이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특히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경우 최근 신소재 개발, 변환효율 및 내구성 향상으로 발전단가가 낮아짐에 따라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도 총 전력수요에 대한 점유율에서는 아직도 매우 낮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태양광발전 시스템 중 특히 민생?공공건물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용 태양전지에 대한 보급을 확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지원정책과 함께 변환효율 향상, 저렴하고 공급이 원활한 신소재 개발, 생산성 향상 등 공통의 기술 과제가 있다.
○ 태양전지 종류별 과제로서 ① 결정질 Si 태양전지는 Si 공급 문제에 대응한 박막 기술, ② 박막 화합물계 태양전지에서는 In, Ga 등의 희귀금속을 대체하는 신소재(Cu2Zn-SnS4 등) 개발, ③ 유기 박막 및 염료감응 유기계 태양전지에서는 변환효율 및 내구성 향상 등이 있다. 특히 염료감응방식은 희귀금속이 아닌 유기염료 개발과 전해액 누설방지를 위한 고체전해질 개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 우리나라도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 선포와 함께 관련 녹색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여기에 총 발전량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율을 시행년도 2%로부터 10%(2022년)으로 의무화하는 “발전사의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가 2012년 시행 목표로 추진 중이다. 또한 공공건물의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2020년까지 총에너지 사용량의 20%로 증가시키는 개정안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른 태양전지의 수요확대는 필연적이다. 이에 대응한 태양전지 관련기술의 적극적인 개발 추진이 필요하다.
- 저자
- Koji Matsub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83(11)
- 잡지명
- 空氣調和衛生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31~935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