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시범위 조명기능을 가진 RFID 리더기

전문가 제언
○ 이 기술의 핵심 분야로서 QR코드의 재조명, MIT의 신규 DOT코드 구현, Alien Tec.사의 photo current를 이용한 RFID 센싱 메커니즘, Symbol Tec.(Motorola)의 무선 Bluetooth기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기술 등은 아주 새로운 기술은 아니다. 하지만, 융합기술로서 파괴적(disruptive) 기술 이상의 시장선점을 추구하고 실용성을 높여가는 보존(sustaining)기술로서 유망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 이러한 기술로 개발된 리더기 선도업체의 스캐너 및 리더기 융합기술제품은 동종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동일 부문 기술열위(80%)를 갖고 있는 국내 기술력의 경우 민?관 모두 국산화율 제고와, 기술추종 투자만이 아닌 융합기술 포착과 제품개발에도 투자할 필요가 있다.

○ 스마트폰에 QR코드나 RFID를 리더기 칩으로 구현되는 리더기가 올해 안에 구현될 것으로 예상되어 산업용 리더기 패러다임도 변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용 리더기와 동일한 기능을 스마트폰에 구현하든지, 산업용 리더기에 기능을 추가하든지 간에 해외 선진 리더기 기술개발 업체의 기술융합 동향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 융합기술(바코드/QR코드/도트코드/RFID/광세분화 식별기술/저전력 무선플랫폼기술/배터리기술 등)을 적용한 복합 리더기에 이 기술과 같은 조준조명을 추가하는 것은 현재 기술로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것은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 우선 산업용 리더기의 디지털 이미지 기술, 데이터 포착속도 및 정확도 향상기술, 부품표시마킹 기술, 조준조명 기능기술 관련 연구개발에 분발이 요구된다.

○ 아태지역의 RFID 리더기 시장은 2015년 5억390만 달러로 2008년 대비 4배의 성장과 함께 중국이 최대시장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매트리스/심벌/모토롤라 등 리더기 선도 업체의 기술력 추종보다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기술력을 응집하여 공동개발을 가속할 필요가 있다.
저자
SYMBOL TECHNOLOGIES,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WO20100011547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6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