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성형기술의 주요 동향
- 전문가 제언
-
○ 플라스틱의 역할은 다양하여 경량화, 코스트다운,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많은 부품의 수지화가 진행되고 있다. 수지부품으로의 요구는 각각의 부품에 따라 달라서 내열성, 기계적 특성, 도장성, 양호한 외관과 성형성 등 광범위하며 요구 특성에 맞추어 수지재료 개발과 재료 특성을 살려 성형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 경량화와 직결되는 중공화 기술의 요구가 높아 가스 어시스트 성형법을 비롯 DSI법 등 많은 성형가공법을 이용하여 수지부품의 중공화를 시도하고 있다. 중공화 기술 중에서 가스 어시스트 성형법이 자동차 부품 생산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 국내의 일반 사출성형 산업은 인건비가 낮은 중국에 밀려 기술 축적이나 신기술 개발 등이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그렇지만 국제경쟁력을 가진 IT분야, OA,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각종 가공기술과 금형기술 개발을 통하여 원가절감, 우수한 품질, 디자인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 최근 국내에서 최적의 사출성형을 위하여 금형온도와 압력을 센서로 측정하고 이를 활용하는 성형공정의 모니터링 기술이 ‘프랙스’, ‘키슬러코리아’, ‘에이엠에스’ 등에서 개발되고 있고 또한 성형제품이 복잡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효과적인 3D 방식의 해석기법과 사출성형 전 공정에 기여하는 새 해석기법 등을 ‘이티에스 소프트’, ‘브이엠 테크’ 등에서 보급하고 있다.
○ 금후 환경대응을 위해 에너지절약, CO₂배출억제 기술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차세대 어떤 기술이 필요할 것인가를 고민하여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설계, 기반기술, 소재의 합성기술, 초정밀 가공기술과 성형기술, 금형기술, 광학설계 CAE기술 등을 개발, 육성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Seiichi Hon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61(3)
- 잡지명
- プラスチ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15
- 분석자
- 최*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