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기 및 비자기RNA의 식별을 기반으로 한 항바이러스 면역기구

전문가 제언
○ 병원균이 몸에 들어오면 숙주는 처음에는 자연면역에 의해 이를 제거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병원균이 이미 숙주에 감염되었다면 이를 없애기 위해 획득면역이 작동한다. 획득면역은 면역학계에서 이미 1990년대에 B세포와 T세포에 대한 메커니즘을 해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 그러나 자연면역에 관해서는 1990년대 후반까지도 Macrophage와 DC에 의한 병원체인식에 대한 메커니즘이 밝혀지지 못했다. 최근에 와서 TLR이 발견되었으며 면역반응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병원체를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획득면역은 전단계의 공격을 피한 병원체를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병원체의 제거는 이 두 가지 면역작용이 협동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한 보장할 수 없다. 자연면역과 획득면역의 핵심적인 교량역할을 하는 것은 수상세포(DC)다. DC는 TLR에 의해 병원체를 인식하여 Cytokines을 만들며 이 Cytokines는 병원체를 제거하는 한편 획득면역을 활성화한다.

○ 수많은 자기RNA로부터 비자기RNA를 구별하는 능력은 침입병원체로부터 자기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세포질의 RNA감지에서 최근 RIG-I는 바이러스RNA 게놈의 5‘-3인산그룹에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5’-3인산은 일반적으로 숙주RNA에는 없으므로 자기 및 비자기 간의 구조적 차이를 제공한다.

○ 같은 형의 TLR이 관련되어도 DC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면역반응을 일으키도록 신호가 전달된다. 현재 DC의 이러한 변화가 면역학에서 가장 관심을 갖는 분야다. 최근에 와서 자연면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므로 앞으로 TLR뿐만 아니라 MDA 5의 RNA감지 메커니즘, DNA센서에 대한 연구는 물론 새로운 PRR의 발견이 항바이러스 면역과 함께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에도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Onogu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54(16)
잡지명
蛋白質?核酸?酵素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226~2232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