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친환경적인 난연PP의 특징 및 이용 사례

전문가 제언
○ 피난규칙 제5조 내지 제7조의 규정에 따라 KS F 2271로 시험하여 난연1급?2급?3급의 성적이 나온 재료를 불연?준불연?난연재료라 하며, 이를 불연성재료라 통칭한다. 이중 난연재에는 난연 합판, 난연 플라스틱 등이 있다.

○ 난연재는 주로 건축자재로 많이 활용하는데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와 발암물질 등이 인명피해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동반한다. 따라서 국내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 난연재 개발을 적극 추진하여 적용하고 있다.

○ 국내에서도 P유화에서 환경친화용 논할로겐 난연재를 개발하여 자동차 분야를 비롯해 합성피혁과 벽지, 페인트에도 적용, S사는 삼산화안티몬을 플라스틱에 섞어 난연성을 높였고 중소기업인 E사는 폴리에스테르를 난연 처리해 만든 건축용 내장재 ‘엔프리'를 개발 샌드위치 패널의 그라스 울을 대체하였으며 S페인트는 불이 났을 때 전력선과 통신선을 보호할 수 있는 케이블 난연 도료 ‘케이블닥터'를 개발하는 등 친환경 난연재를 개발하고 있다.

○ 관련 국내 특허로는 비할로겐계 난연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전선에 관한 것(LS전선), 종이섬유질의 난연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난연재에 대한 것(한국건설연구원 외), 친환경 흡음 난연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흡음 난연재(Kim j.s.), 방음 단열재의 제조방법(드림) 등이 있다.

○ 위와 같이 난연재의 시장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친환경 난연재의 연구 개발에 기업체는 물론 국가 연구기관에서도 적극 참여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저자
Hideo Hayashi,Shintarou Kuro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60(11)
잡지명
プラスチ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9~53
분석자
최*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