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상피세포와 암세포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현상
- 전문가 제언
-
○ 암의 초기발생단계에서 상피세포층에 있는 하나의 세포에서 최초의 변이가 발생하였을 때 변이세포와 주위의 정상세포와의 사이에서 무엇이 일어나는가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암 연구의 한 의문점으로 남아 있다.
○ 이와 같은 현재 연구 진행상황에서 상피세포 배양계를 이용한 모델시스템을 확립하여 암의 초기단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분자수준에서 해석한 결과에 의하면 인접한 정상상피세포가 변이세포의 시그널전달이나 동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 예를 들면 암유전자인 myc가 과잉 발현된 상피세포와 정상세포가 공존하였을 경우에는 Myc의 과잉발현세포 주변의 정상세포는 Apoptosis로 인해서 없어지게 되며, 그 사이의 공간을 Myc의 과잉발현세포가 묻도록 증식하여 공간을 인식할 수 없게 된다.
○ 현재로서는 정상세포와 변이세포 사이에서의 각각의 시그널전달 메커니즘이나 형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자적인 메커니즘은 거의 알지 못하고 있다. 어떻게 정상세포와 변이세포가 서로 차이를 인식하는지 하는 의문과 시그널전달의 비자율적인 제어 등 앞으로 관심 있는 연구로 그 전모를 규명하였으면 한다.
○ 따라서 본 리뷰에 의하면 이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이와 같은 현상은 RasV12세포만을 배양하였을 때에는 보이지 않던 것이 정상세포와 RasV12세포의 경계에서만 관찰된다는 점이다. 즉 Ras 하류의 시그널전달로 주변의 정상세포의 존재가 RasV12세포 내의 시그널전달이나 거동을 다시 비자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것이 핵심적인 연구 결과이며, 앞으로 이 분야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새로운 암 치료 개발과 연결함으로써 획기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Yasuyuki Fuji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55(1)
- 잡지명
- 蛋白質?核酸?酵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8~54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