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차아염소산 나트륨과 계면활성제의 분해성과 생태독성

전문가 제언
○ 해수의 염분농도는 대략 35g/kg(35‰)이고, 그 중에서 최고는 염소이온(Cl-)이 19.34g/kg으로 55.3%를 차지하며, 나트륨 이온(Na+)은 10.34 g/kg의 농도로 30.7%를 점유한다. 이와 같이 염분도가 높은 해수 중으로 NaClO 등의 오염방지제를 방출해도 통상적으로 환경?생태 독성이 크게 발현된다고 보지 않는다.

○ NaClO 등의 오염방지제의 근원인 염소(Cl2)는 해수에서 공업적으로 생산하여 이용하는 화합물이므로, 본래적인 위치의 해수로 되돌아가는 배출 염소의 분해율이나 환경?생태 독성에 대한 연구는 당연히 그동안 미진할 수밖에 없었다.

○ 우리나라에도 전남 영광지역에서 경북 울진지역에 이르는 연안에 위치한 20여 기의 원자력 발전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배수는 주변의 해수온도보다 5~10℃가 높으므로, 이 배출 냉각수가 주변 환경이나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주변 수산양식장의 보상 때문에 비교적 많이 연구한다.

○ 우리나라에는 원자력발전소만이 아니라 인천, 충남 보령, 경남 사천, 부산, 울산 등에 대규모의 화력발전소가 자리하고, 울릉도, 제주도 등에는 소규모의 화력발전소를 설치?운용하고 있으나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의 열교환기에서 나오는 냉각수의 온배수에 함유된 오염방지제가 연안 수역에 미치는 환경독성 및 생태독성 연구는 아직 미진하므로 국제적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
저자
Cristina Lopez-Galindo, M. Carmen Garrido, Jose Casanueva, Enrique Nebo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408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779~1785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