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은 나노구조를 활성화한 광전변환

전문가 제언
○ 금속 나노 구조체에 광이 조사되면 금속의 자유전자가 광 전장 진동의 영향으로 집단 운동, 즉 플라스마 진동 현상을 일으킨다. 이 플라스마 진동을 입자로 취급하는 경우 “「플라스몬」이라 하고 광 전장과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한 광 에너지를 「광 전장 증강」이라는 성질을 이용하여 금속 표면의 특정 나노 공간에 국부적으로 존재시킬 수 있다.

○ 금이나 은의 나노입자나 나노구조 체는 자외선-근적외선 영역의 광과 커풀링(coupling)하여 국부적으로 표면에 플라스몬 공명(LSPR: Localized Surface Plasma Resonance)을 일으킨다. 가시광선~근적외선 영역에서 LSPR 흡수를 갖는 Au, Ag, Cu 나노입자 중 내산화성이나 광 전장 증강도의 관점에서 오로지 Au 및 Ag 나노입자의 구조 제어가 연구대상으로 되고 있다.

○ 이 문헌에서는 금이나 은의 나노입자나 나노구조 체의 LSPR을 이용하여 유기 태양전지를 중심으로 광전변환계에 금이나 은의 나노 구조를 넣는 실험을 하였다. 또한 습식계에 의한 광전변환을 여러 가지 경우를 비교실험 결과를 상세히 보고하고 있다.

○ 미국, 일본 등에서는 응용 물리학, 광학, 전자학계 등이 중심이 되어 플라스모닉스(plasmonics)의 연구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보다 많은 과학자, 기술자 등이 집중적으로 이의 실용화를 추진하여야하며 이에는 정부의 지원과 대기업 및 대형연구소의 관심이 모아져야 하겠다.

○ 따라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수집 중에서 본 문헌은 대표적인 Au 및 Ag 나노입자의 구조 제어 연구의 실험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Sunao Yama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29(11)
잡지명
機能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3~48
분석자
김*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